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7

사회적 동조와 복종에 대한 연구(Research on Social Conformity and Obedience)

1. 솔로몬 애쉬(1907년~1996년)의 동조실험 애쉬의 동조실험은 1951년에 미국의 사회 심리학자 솔로몬 애쉬(Solomon Asch)가 설계한 실험으로 심리학 역사상 가장 유명한 실험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실험은 사회적 영향력이 개인의 판단과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애쉬의 동조 실험은 집단행동에 대한 연구에 풍부한 영감을 주었습니다. 이 연구는 사람들이 어떻게, 왜, 언제 순응하는지 그리고 사회적 압력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했습니다. 이러한 연구의 시작 배경에는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큰 역사적 사건이 존재합니다. 히틀러가 권력의 정점에 있던 제2차 세계대전 초기에 솔로몬 애쉬(Solomon Asch)는 브루클린 대학의..

카테고리 없음 2024.01.30

윌리엄 제임스의 주요 이론(William James's Main Theories)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 ~1910)는 미국의 심리학자, 철학자, 생물학자로서, 미국 심리학의 선구자 중 한 명이며, 기능주의 심리학의 중요한 이론가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제임스는 심리학의 초기 사상 중 하나인 기능주의에 기여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저서 는 심리학 역사상 가장 고전적이고 영향력 있는 저서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그는 기능주의적 시각에서 인간의 행동, 감정, 의지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그는 '자아'의 개념을 소개하고 인간의 의지와 선택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윌리엄 제임스는 그의 다양한 관심사와 기여로 인해 심리학, 철학, 종교 심리학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기능주의적 시각은 심리학과 철학에서 지속적..

카테고리 없음 2024.01.29

심리학의 애착 관련 이론(Attachment Theories in Psychology )

1. 존 보울비의 애착이론 존 보울비(John Bowlby)는 영국의 발달심리학자이자 소아정신의학자로서, 주로 어린이의 정서적 발달과 부모-아이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로 유명합니다. 그의 주요 업적 중 하나는 '애착 안전성 이론'을 개발한 것입니다. 이 이론은 어린이와 부모 간의 안전한 애착이 아동의 정서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존 보울비의 이론은 발달심리학과 소아정신의학 분야에서 매우 영향력 있는 이론 중 하나로 평가되며, 많은 연구와 실제 적용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1) 애착 이론 (Attachment Theory): 보울비는 어린이가 부모나 주요 돌봄자와 형성하는 결합이 아동의 생존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본능적인 반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안전한 결합이 어린이의 ..

카테고리 없음 2024.01.29

올포트의 성격 특질 이론 (Allport's Personality Trait Theory)

고든 올포트(Gordaon Willard Allport 1897~1967)는 미국의 사회심리학자로 성격심리학의 창지사입니다. 올포트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심리학자 중에 가장 저명한 심리학자 11위로 선정되었습니다. 그는 성격심리학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고 그의 이론들은 그 이후 성격심리학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사람의 기본 특성을 생각해보면 테레사 수녀의 이타주의와 같이 개인의 행동과 삶을 지배하는 중요한 특성입니다. 이러한 특성은 매우 널리 퍼져 있어 개인의 정체성과 행동의 특징을 정의하는 것으로 식별될 수 있습니다. Gordon Allport의 특질 이론은 사람의 기본 특질의 개념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심리학자로서 올포트는 성격 특성을 연구하고 분류하는 데 관심이 있었습니다. ..

카테고리 없음 2024.01.28

아들러의 개인심리학과 성격이론(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nd Personality Theory)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1870~1937)는 개인 심리학으로 알려진 사상 학파를 창설한 오스트리아의 의사이자 정신과 의사였습니다. 1912년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는 개인심리학회(Society of Individual Psychology)를 설립했습니다 그는 비엔나 정신분석학회의 창립 멤버이자 회장이었으며 처음에는 프로이트의 동료로서 정신분석학의 확립을 도왔습니다. 그는 개인을 전체로 보았기 때문에 자신의 접근 방식을 개인 심리학이라고 불렀습니다.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계에서 분리되었지만 정신치료의 발전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들러의 개인 심리학에서는 인간이 주로 사회적 연결성과 우월성 또는 성공을 위한 노력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는다고 가정합니다. 그는 열..

카테고리 없음 2024.01.25

콜버그의 도덕적 발달 단계 이론(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로렌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 1927~1987) 미국의 심리학자로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영향을 받아 도덕발달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의 교수로서 일생동안 도덕성 발달 연구에 매진하였습니다. 그는 개인이 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 도덕적 추론의 6단계를 거쳐 발전한다고 주장하는 이론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이러한 단계를 도덕적 추론의 세 가지 범주, 전 인습적 수준, 인습적 수준, 후 인습적 수준으로 분류했습니다. 각 수준은 도덕적 발달의 더 복잡한 단계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콜버그의 도덕적 발달 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전 인습적 수준 어린이는 타인의 권위 및 도덕률을 받아들입니다. 어떤 행동이 처벌로 이어진다면 그 행동은 나쁜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그것이 보상으..

카테고리 없음 2024.01.24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장 피아제(1896~1980)는 스위스의 심리학자이며 생물학자, 철학자로 그의 발달 이론은 심리학과 교육학 등 많은 분야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습니다. 피아제는 불과 11세에 첫 과학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그는 유명한 IQ 테스트를 표준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Alfred Binet와 Theodore Simon의 조수로 일하면서 어린이의 지적 발달에 대해 일찍 접하게 되었습니다. 피아제는 그의 유명한 인지발달이론을 통해 유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면서 발생하는 인지발달은 타고난 능력(본성)과 환경적 영향(양육)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주장했습니다. 인간의 인지발달은 감각운동기(출생~2세), 전조작기(2~7세), 구체적 조작기(7~11세), 형식적 조작기(12세 이상)를 거쳐 발달한다는 것이 그의 이론의 중심..

카테고리 없음 2024.01.20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Skinner's Operant Conditioning Theory)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또는 도구적 조건화 이론은 행동이 그 결과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학습 이론입니다. 강화(보상)된 행동은 반복될 가능성이 높으며, 처벌되는 행동은 발생할 확률이 줄어듭니다 1920년대에 행동주의자들은 고전적 조건형성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학습을 제안하면서 영향력을 갖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이들 중 가장 중요한 사람은 Burrhus Frederic Skinner일 것입니다 그는 B.F. Skinner로 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키너의 견해는 Watson(1913)의 견해보다 덜 극단적이었습니다. 스키너는 우리가 마음과 같은 것을 가지고 있지만 내부 정신 사건보다는 관찰 가능한 행동을 연구하는 것이 더 생산적이라고 믿었습니다. 스키너의 연구는 고전적 조건화는 너무 단순해서 복잡한..

카테고리 없음 2024.01.20

반두라의 사회학습 이론(Albert Bandura’s Social Learning Theory)

캐나다 출신의 미국 심리학자 반두라는 1977년 출간한 을 통해 학습이론(행동주의)에서 나아가 인지적 접근 방식을 강조하는 사회학습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스키너와 달리 반두라(1977)는 인간이 능동적인 정보처리자라고 설명하며 인간의 행동과 그 결과 사이의 관계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반두라가 제안한 사회 학습 이론은 타인의 행동, 태도, 정서적 반응을 관찰하고, 모델링하고, 모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사회학습 이론은 환경적 요인과 인지적 요인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여 인간의 학습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고려합니다. 사회학습 이론에서 반두라는 스키너의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의 행동주의 학습 이론에 동의합니다. 그러나 그는 두 가지 중요한 아이디어를 추가합니다. 첫 번째는 자극과 반응..

카테고리 없음 2024.01.18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심리학(Carl Rogers Humanistic Theory)

칼 로저스는 20세기의 뛰어난 심리학자 중 한 사람으로 그는 내담자가 치료 과정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비 지시적 접근법인 내담자 중심 치료를 창안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심리학 분야 인본주의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인 로저스는 사람이 본질적으로 선하고 건강하다고 믿었습니다. 이는 비정상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춘 정신분석학적 관점과는 크게 달랐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세상을 보면 비관적이지만, 사람을 보면 낙관적이에요." 로저스는 인간은 타고난 선함을 갖고 있으며 실현하려는 경향에 따라 움직인다고 믿었습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왓슨의 행동주의는 인간 본성에 대해 훨씬 더 부정적인 관점을 취하는 경향이 있었고, 종종 비정상적이거나 문제가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로저스의..

카테고리 없음 2024.01.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