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01/18 3

반두라의 사회학습 이론(Albert Bandura’s Social Learning Theory)

캐나다 출신의 미국 심리학자 반두라는 1977년 출간한 을 통해 학습이론(행동주의)에서 나아가 인지적 접근 방식을 강조하는 사회학습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스키너와 달리 반두라(1977)는 인간이 능동적인 정보처리자라고 설명하며 인간의 행동과 그 결과 사이의 관계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반두라가 제안한 사회 학습 이론은 타인의 행동, 태도, 정서적 반응을 관찰하고, 모델링하고, 모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사회학습 이론은 환경적 요인과 인지적 요인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여 인간의 학습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고려합니다. 사회학습 이론에서 반두라는 스키너의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의 행동주의 학습 이론에 동의합니다. 그러나 그는 두 가지 중요한 아이디어를 추가합니다. 첫 번째는 자극과 반응..

카테고리 없음 2024.01.18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심리학(Carl Rogers Humanistic Theory)

칼 로저스는 20세기의 뛰어난 심리학자 중 한 사람으로 그는 내담자가 치료 과정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비 지시적 접근법인 내담자 중심 치료를 창안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심리학 분야 인본주의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인 로저스는 사람이 본질적으로 선하고 건강하다고 믿었습니다. 이는 비정상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춘 정신분석학적 관점과는 크게 달랐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세상을 보면 비관적이지만, 사람을 보면 낙관적이에요." 로저스는 인간은 타고난 선함을 갖고 있으며 실현하려는 경향에 따라 움직인다고 믿었습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왓슨의 행동주의는 인간 본성에 대해 훨씬 더 부정적인 관점을 취하는 경향이 있었고, 종종 비정상적이거나 문제가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로저스의..

카테고리 없음 2024.01.18

머레이의 욕구 이론 (Murray's Theory of Psychogenic Needs)

미국의 심리학자 헨리 머레이(Henry Murray, 1893~1988)는 동기와 욕구 측면에서 정리된 성격 이론을 개발했습니다. 머레이는 욕구를 "특정 상황에서 특정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능성 또는 준비"라고 설명했습니다. 다양한 유형의 욕구와 이러한 욕구가 성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머레이의 이론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머레이와 그의 동료들은 24가지 심인성 욕구를 확인했습니다. 모든 사람은 이러한 욕구를 갖고 있지만 각 개인은 각 욕구에 대해 일정 수준을 갖고 있습니다. 각 개인의 고유한 욕구 수준은 개인의 성격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욕구 사항은 그 자체로 중요하지만 머레이는 각각의 욕구가 상호 연관될 수 있고 다른 욕구를 원하며 다른 욕구들과 충돌할 수 있다고 ..

카테고리 없음 2024.01.18
반응형